천왕성에 대한 12가지 사실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7번째 행성이자 태양계에서 3번째로 큰 행성입니다.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대략 28억km정도이며 이는 태양과 지구의 거리의 약 20배라고 합니다.지구와 매우 멀리 떨어져있는 행성이다보니 육안으로는 관측하기 힘들었던 행성중에 하나이기도 합니다.천왕성의 영어이름은 "Uranus"이며 이이름은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엘레르트 보데에 의해 지어졌고 한가지 재밌는 사실은 지구를 제외한 다른 행성들이 모드 그리스 로마 신화의 로마식 이름을 땄는데 이 우라노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식 이름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로마 신화에서 우라노스 신의 이름은 카엘루스입니다. 우라노스 신은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을 의인화한 신이며 대지의 여신 가이아가 낳은 아들이기도 합니다.동양에서 천왕성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은 육안 관측과 연관이 있으며 고대부터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했던 5개의 행성들과는 다르게 천왕성과 해왕성은 육안으로 관측이 불가능해 근대에 들어서 발견되었습니다. 동양에서는 Uranus와 Neptune의 의미를 각각 차용해서 우라노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의 신, 넵튠은 로마 신화의 바다의 신 그래서 천왕성과 해왕성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습니다.이 행성은 1781년에 윌리엄 허셜 경이 처음으로 발견하였으며 근대에 들어 천체 망원경이 탄생한 것은 갈릴레오 덕분이었는데요. 천왕성 발견에도 이 천체 망원경이 이용되었습니다. 이 행성을 발견한 허셜은 처음엔 이를 혜성으로 생각했지만 결국 몇 년 뒤 행성으로 밝혀졌습니다.태양계 내의 다른 행성들은 자전축이 수직에 가깝거나 살짝 기울여져 있는 형태지만 특이하게도 천왕성은 자전축이 누워있는 형태입니다.정확하게는 99도나 기울어진 이 자전축 때문에 천왕성은 자전할 때 데굴데굴 굴러가는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자전축이 거의 누워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 동안 천왕성의 극점은 태양을 바라보고 있거나 태양 정반대 편에 위치해 있다고 합니다.천왕성의 다른 행성들과의 차이점은 한가지가 더 있는데요. 바로 지구나 여타 행성들이 자전하는 반시계 방향과는 다르게 시계방향으로 자전을 한다는 것입니다.이외에도 금성도 시계방향으로 자전을 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천왕성의 자전 주기는 즉 천왕성의 하루는 지구 시간으로는 17시간 14분이라고 합니다.천왕성의 공전 주기는 지구 시간으로는 대략 84년 정도라고 하며 공전하는 시간 동안에는 자전축이 누워있기 때문에 한 면만 빛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여름과 겨울의 주기가 각각 42년이라고 합니다.천왕성의 또하나의 특징은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태양계 행성 중에서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평균 기온이 가장 낮은 행성은 해왕성이지만 가장 낮은 온도 기록은 영하 226도로 천왕성이 갖고 있기 때문에 천왕성이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행성입니다.천왕성이 해왕성보다 더 추운 이유에 대해서 아직까지는 정확히 파악되고 있진 않지만 해왕성 내부에서 이유를 알 수 없는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에 비해 방출하는 열이 훨씬 더 많은데 그래서 해왕성 내부에는 열원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천왕성의 대기는 복잡하게 층이 진 구름이 형성되어 있는데 고도가 낮은 층의 구름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위층의 구름들은 메탄 결정 덩어리일 것이라고 현재 추측되고 있습니다.또한 대기성분은 목성이나 토성처럼 수소나 헬륨이 많다고 합니다.천왕성은 우리가 눈으로 보이는 색은 하늘색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가 다른 행성들에 비해 적은 편에 속해서 행성이 저온이기 때문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그리고 천왕성은 가스로 이루어진 목성형 행성이여서 대기에는 메탄이 있고 이 메탄이 붉은색을 흡수하는 성질을 지녀 우리의 눈에는 푸른색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토성과 마찬가지로 천왕성에도 고리가 존재하지만 이 고리는 다른 행성에 비해 매우 희미한 편이며 최대 크기 직경 10미터의 어두운 미립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천왕성의 고리는 태양계에서 토성 다음으로 발견된 고리이며 구성 물질들은 고속 충돌로 인해 부서진 위성들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천왕성위성은 현재까지 27개가 발견되었으며 그중에서 중요한 5개의 위성으로는 미란다, 아리엘, 움브리엘, 티타니아, 오베론을 꼽을 수 있으며 천왕성이 근대에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위성들의 이름도 근대적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과 알렉산더 포프의 시의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입니다.이 중 가장 큰 위성인 티타니아는 크기가 지구의 달의 절반에도 못 미칠 정도로 작다고 합니다.상대적으로 천왕성위성들은 다른 목성형 행성들의 위성의 크기에 비해 작은 편에 속하며 5개 위성을 모두 합쳐도 해왕성위성인 트리톤 하나의 질량을 못 이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현재까지 탐사선 연구중 천왕성탐사는 딱 한 번 있었으며 보이저 2호만이 천왕성을 탐사 했습니다.현재로서는 나사나 유럽 항공 우주국에서도 다른 천왕성 탐사 계획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탐사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인간이 살기에 그리고 다른 생명체가 존재하기엔 너무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는 극한의 행성이여서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해봅니다.1977년 발사된 보이저 2호는 1986년 천왕성에 근접했고 보이저 2호의 주된 임무는 대기 구조와 화학 성분 분석, 위성 발견, 기장 상태 측정과 고리 탐사를 담당했습니다.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는 대체 어떤 곳일까? (0) | 2021.04.13 |
---|---|
금성에 대한 14가지 사실들 (0) | 2021.04.13 |
태양계의 여섯 번째 행성 "토성" (0) | 2021.04.13 |
블랙홀에 대한 10가지 사실 (0) | 2021.04.12 |
달에 대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들 (0) | 2021.04.12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는 대체 어떤 곳일까?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는 대체 어떤 곳일까?
2021.04.13 -
금성에 대한 14가지 사실들
금성에 대한 14가지 사실들
2021.04.13 -
태양계의 여섯 번째 행성 "토성"
태양계의 여섯 번째 행성 "토성"
2021.04.13 -
블랙홀에 대한 10가지 사실
블랙홀에 대한 10가지 사실
2021.04.12